세계는 지금 모바일 전성시대를 정점을 치닫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며, 모바일 시장의 급성장과 확대의 궁극적인 발판이 다져진 것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가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진화! 그리고 모바일 웹 표준화
이처럼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에 가장 뜨거운 관심과 포커스가 맞춰 지고 있는 상황이고, 디지털 기술 발달로 인해 그 성능이 데스크톱을 능가할 만큼 우수해졌지만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웹 환경은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국내 모바일 웹은 기본적인 콘텐츠 검색 및 전체보기는 물론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하는데 적지 않은 불편함이 뒤따르고 있어 이용자들의 모든 니즈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더군다나 통신사별 각각의 서비스 방식으로 인해 혼란스러움을 야기하고 있기도 하다.
국내 모바일 웹, 사용자 니즈 충족시키지 못해
이렇듯 모바일 웹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급변하는 모바일 트렌드로 인해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개선하고 최적화하기 위하여 각국은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시점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W3C의 MWI(Mobile Web Invitiative) 에서는 ‘모바일 OK’라는 표준을 개발하여 기존 웹 표준을 모바일 환경에서 그대로 사용하기 위한 모범사례 표준을 중심으로 단말 정보 표준 등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6월 아이뉴스 보도에 따르면, 정부도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을 위한 웹 방식 표준화 채택해 특정 단말기 종속화 벗는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간단히 요약해보면, 행정안전부는 '전자정부서비스 호환성 준수 지침'을 개정에서 '모바일 웹(Web)' 방식을 채택했고, 이에 따라 전자정부 서비스를 휴대전화 기종에 상관없이 다양한 단말기에서 받아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모바일 웹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 시에도 국제표준화기구(W3C)에서 권고하는 표준방식(HTML 4.01, XHTML 등)으로 제공하도록 의무화하고, 특정 기종에 편중되는 모바일 앱 방식은 민간의 개발을 권장하는 대신 보편적 접근이 보장되는 모바일 웹 방식을 사용하고 모바일 웹 표준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보여 진다.
다시 말해, 모바일 OK는 모바일 콘텐츠 진흥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모바일 웹 표준기반에서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공정하게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제반 환경(ECO-SYSTEM)구축하고, 이의 보급.확산을 통해 4000만 모바일 사용자들이 손쉽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 주도하에 시범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라고 볼 수 있다.
모바일 OK 공식 사이트 모이바(Moiba) 무선 인터넷 표준화 안내
다양한 단말에 최적화된 웹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련 규격과 제작된 웹 컨텐츠에 대한 적합성 검사와 위치한 기술 등을 구성으로 모바일OK의 핵심은 기존 웹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모바일 단말을 지원 유선과 무선 환경에 구분 없이 자유로운 모바일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바일 OK 캠페인 또한 국내 실정에 맞는 모바일 표준화 가이드라인 제시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다양한 스마트폰과 태블릿 기기들이 줄을 잇듯 출시되고 있는 상황에 더 이상 모바일 웹 표준화 노력을 관망하는 입장으로 두어서는 안 되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서의 모바일 웹 사용과 콘텐츠 활용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먼저 표준 가이드라인을 확보하고 그에 따른 통신별 서비스 개발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견해이다.
금융과 통신 등 산업 전반의 폭넓은 서비스와 콘텐츠를 다양한 모바일 브라우저와 기기에서도 원만하게 호환되고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할 때, 진정한 한국형 모바일 웹 표준화 구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모바일 OK는 올해 각 국가표준이 되었고 앞으로 지속적인 캠페인과 차세대 모바일 웹 기술의 접목과 반영을 통해 한층 진보된 웹표준화로 발전시켜 나가다면 IT강국 코리아의 우수한 모바일 웹 환경을 접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국가차원의 주도적인 모바일 웹표준화도 중요하지만 산업전반에 걸쳐 표준을 준수하려는 자발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며 국민적인 관심이 모아질 때 보다 더 좋은 서비스가 많이 나오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