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 주를 시작하는 아침, "디자인은 오감(五感)이다… 소비자의 군침을 돌게 하라"는 11일자 조선닷컴의 하라 켄야 교수 인터뷰 기사가 눈길을 끌었다.
'햅틱 이론'을 집대성한 인물로 불리우는 하라 켄야(原硏哉·51) 일본 무사시노 미술대학 교수. 하지만 그도 삼성전자의 '햅틱폰'을 한 번도 본적 없다는 답변이 아이러니하기도 하다.
그가 햅틱 이론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디자이너지만 굳이 햅틱폰을 알고 있어야 당연하다는 것은 포괄적인 기대감이 아닐까 싶다. 그 이유는 햅틱 이론의 본질적 가치와 추구하는 목적에 아직은 햅틱폰을 통해 구현하는 기술이 하나의 시도일 뿐, 햅틱의 진정한 가치인 감성적 개념의 확장이 필요하다는 조언에 공감을 갖게 한다.
마쓰야 백화점 리뉴얼 공사(출처: 하라 켄야 / 조선닷컴)
해외 유학파가 많은 한국 디자인의 스타일링은 일본보다 앞서있다고 말하면서 이제는 한국다움이 담겨진 한국의 디자인 정체성을 고민해야 할 시기라는 날카로운 조언들.
디자이너라면 간과할 수 있었던 부분을 되짚어 볼 수 있고, 조금은 신선한 자극을 받을 수 있는 하라 켄야 교수의 인터뷰를 곱씹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어렵네요.. 흠..
조선이 아니라 한겨례나 경향에서 이런 글을 올렸다면 좋았을텐데..
아직 조선일보가 건재하다는 신호군요. 흐흠..
우리도 LG랑 삼성만 보지 말고 다른 나라를 지켜보는 넓은 시야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저분이 소니에 대해서 한말, 삼성과 LG도 새겨야 할것입니다.
일단 돈이 바탕이 되니.. 하악...
한겨례나 경향도 여러가지 섹션
부수 를 활용하여 노력하고 있지요 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