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가족건강 위협하는 새집증후군 못지않는 헌집증후군 해결방법?

Life Essay/Commentary on Issue

by 김현욱 a.k.a. 마루 2007. 12. 2. 17:26

본문

지금 사는 집으로 이사를 한지 1년 정도 지났는데, 유독 아침, 저녁으로 화장실 배수관에서 달갑지 않는 냄새가 나와 처음에는 세제나 락스 등으로 화장실 청소를 자주 해 보았는데 잠깐 개선되는 기미를 보이다가 여전히 예전과 같아지고 만다.

오늘 뉴스보도를 통해 새집증후권 못지않은 헌집증후군도 아이들과 가족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헌집증후군은 오래된 집 곳곳에 숨어있는 곰팡이와 세균 등 오염물질이 그 주원인이 아토피나 피부질환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시키는 증상이라고 한다.

또한 오래된 집에서 인테리어를 바꾸고 새 가구를 들여놓아 포름알데히드와 벤젠 등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것도 새집증후군 못지않게 해롭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라고 한다.

그럼 전문가들이 소개하는 헌집증후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습기를 제거해 곰팡이를 원천 봉쇄해야 한다.
이른바 ‘헌집증후군’ 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은 습기에 의한 곰팡이다. 곰팡이는 실내 온도가 섭씨 20~30도, 습도는 60% 이상에서 가장 잘 번식하는데 겨울철에는 난방과 가습기의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의 서식에 알맞은 환경이 조성 된다.

건물 단열이 허술한 집일 경우 실외 공기와 벽의 온도 차가 15도 이상 되면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벽에 부딪혀 이슬이 맺히는 결로현상이 생긴다. 결로 현상이 잘 생기는 창문 주변이나 벽 모서리, 장판 밑, 욕실의 타일 등은 습기가 쉽게 차는 곰팡이 상습 발생 지역이다.

곰팡이는 그 자체보다 번식할 때 공기 중에 퍼지는 포자가 위험하다. 매우 미세한 포자는 호흡기로 흡입돼 각종 기관지염, 알레르기, 천식 등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곰팡이는 쾌쾌한 냄새로 매스꺼움, 피로감 등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가정에서 간단히 곰팡이 증식을 막으려면 벽지에 생긴 습기를 마른 걸레로 헤어드라이어로 말린 후 곰팡이 제거제나 습기 제거제를 뿌려 준다. 이미 곰팡이가 생겼을 경우 마른 걸레에 식초나 락스 등을 묻혀 닦아낸다. 곰팡이는 산에 약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잘 제거 되지 않으면 헤어드라이어로 잘 말린 후, 브러시나 칫솔, 결이 고운 샌드 페이퍼 등으로 조심스럽게 긁어서 제거 한다. 장판 아래에 습기가 찬 경우에는 마른 걸레로 닦고 바닥에 신문지를 몇 장 겹쳐 깔아서 습기를 빨아들인다.

또한, 가습기를 너무 강하게 틀지 않도록 하고 창문에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하면 즉시 작동을 멈춰야 한다.

‘헌집증후군’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는 바로 환기다. 겨울철이라 하더라도 아침과 저녁에 창문을 열어 30분 이상 환기를 시키는 것이 좋다.

  • 환기 시에는 되도록이면 집안의 모든 문(옷장 문, 장롱 문, 창문, 방문, 현관문)을 열어 주는 것이 좋다.
  • 맑은 날에는 각방 창문을 활짝 열어 환기가 잘 되도록 하는데, 곰팡이는 햇볕에 약하기 때문에 볕이 나는 날은 필수적으로 문을 열어서 통풍을 시키고 말릴 수 있는 것들은 자주 말리는 것이 좋다.
  • 환기는 주기적으로 하고 물기가 있는 생활용품의 물기는 제거하여야 한다.

2) 평상시 배수관은 막아 두어야 한다.
아침에 일어나 화장실에 가면 코를 찌르는 냄새가 나는 집도 있다. 오래된 배수관에서 나오는 메탄가스와 암모니아 때문이다.

대개 U자나 P자 형태인 배수관은 굽은 부분에 물이 고이도록 하여 가스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집이 오래되면 낡은 배수관 자체에서 냄새가 나기도 한다. 이 냄새의 주요 성분은 메탄가스와 암모니아로 두통, 소화 장애, 천식, 알레르기 등을 일으킨다.

해결 방법으로는 낡은 배수관을 교체해주는 것이 가장 좋다. 당장 교체가 힘들 경우 물을 사용할 때 외에는 항상 배수구 뚜껑을 닫아 놓는다.

3) 개미가 알레르기를 유발하기도 한다.
노후 된 집에는 개미, 바퀴벌레, 파리, 모기 등이 많다.
특히 ‘개미와의 전쟁’을 치르는 집이 많다. 과자를 먹다가 밀봉하지 않고 방이나 거실에 두고 잠을 잔 후 아침에 일어나 보면 개미떼가 과자 주변에 득실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대부분 애집개미로 서울지역 주택 5곳 가운데 1곳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미들은 돌아다니며 세균이나 병균을 옮겨 면역력을 약화시키기도 한다. 특히 개미의 분비물은 천식이나 비염 등 호흡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미 출현을 막기 위해서는 일단 개미의 영양분이 될 만한 먹이를 방치해서는 안 되며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자료제공]환경기술 전문 회사 ㈜제이앤케이사이언스(www.eco-fresh.co.kr)

“대부분의 사람들이 ‘새집증후군’이라는 말에는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처하는 방법도 스스로 많이 연구 하지만 정작 ‘헌집증후군’ 에는 아무런 지식이나 대비 없이 노출 되어 있다는 것이 ‘헌집증후군’ 을 더욱 위험스럽게 만들기 때문에 ‘헌집증후군’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라고 환경기술 전문가는 언급했다.

우리 집의 경우는 두 번째 경우와 같은 상황이다. 오늘부터 가족 모두에게 화장실 이용 후 꼭 배수구를 막고 나오도록 주의를 시켜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예전에 살던 집도 조금 오래된 집이였는데 겨울이면 아이들이 감기를 달고 살았고, 나 또한 겨울이면 연례행사처럼 감기를 심하게 앓았었다. 아무래도 헌집 증후군이 아니었을까 싶다.

이제 본격적인 겨울시즌이다. 특히나 건조하고 추운 날씨 때문에 아토피 질환을 가지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라면 상당히 신경이 많이 쓰이는 계절이고, 난방효율 때문에 창문을 꼭 잠궈 놓고 지내게 되는데 이번 기회에 집안 대청소도 한 번 하고 건강한 겨울나기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